본문 바로가기
화법/토론

토론의 단계와 전략

by 우리국어 2014. 7. 19.

입론, 교차조사, 반박

 

1. 입론 : 긍정 측과 부정 측이 자신의 주장을 세우는 것.

2. 교차조사 : 상대의 논증의 문제점을 부각하여 자신의 주장을 세우는 것.

3. 반박 : 이미 상대의 입론과 교차조사에서 제기한 주장을 반박하며 자신의 입론과 교차질문에서 나타난 주장을 강화하는 것.

 

1. 입론 전략

 

 

 긍정측

부정측 

문제 정의 쟁점

1. 용어에 대한 정의를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명확히 내려야 함.

2. 논제의 쟁점에 대해 깊이 있게 살폈음을 알리기 위하여 역사적, 이념적, 철학적 배경을 드러냄.

1. 용어에 대한 정의를 긍정측과 마찬가지로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정의내려야 함.

2. 동일한 개념이더라도 부정적 어감의 용어를 선택하여 정의내림으로써 자신에게 유리하게 함.

문제 제기 쟁점

1. 문제의 중요성, 심각성, 즉시성, 지속성을 핵심 쟁점으로 주장함.

  - 논제는 대단히 중요하고 심각한 문제임을 인지시키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즉시 해결하지 않으면 부정적 상황이 지속될 것임을 강조함.

1. 긍정 측이 핵심쟁점으로 부각시킨 사안의 중요성, 심각성, 즉시성, 지속성에 반론을 펼침.

  - 논제는 중요하지도 심각하지도 않은 문제이며, 즉시적인 조치 없이도 시간이 흐르면 해결되어 부정적 상황이 지속되지 않을 것임을 강조함.

해결 방안 쟁점

1. 긍정측의 해결방안이 실현 가능함을 입증해야 함.

2. 해결방안을 수용하였을 시 발생하는 긍정적 효과에 대해 시각화하여 제시하면 설득에 유리.

1. 긍정 측의 해결 방안이 인적, 물적, 법적, 사회적 인식 차원에서 문제가 있음을 지적함.

2. 상대에 대한 반박은 이를 입증할 수 있는 구체적인 논거를 준비하여야 효과적임.

비용 쟁점

1. 긍정측 해결방안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이익과 부작용에 대해 모두 언급하고, 이익이 부작용보다 훨씬 큼을 설득함.

2. 부작용을 언급하는 이유는 부정측의 입장이 부작용이 클 것을 공격할 것이므로, 부작용을 언급한 후 이익이 더 크다는 전략을 세움으로써 설득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음.

1. 긍정측의 입장이 매력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대안으로 인한 예측 불가능한 부작용과 사회적 비용이 매우 큼을 부각시켜 긍정 측의 대안을 쉽게 받아들일 수 없도록 함.

 

 

 

 

 

2. 교차조사 전략

 

 가. 질문 전략

   ① 질문 내용

   - 상대의 입론 중 모르는 내용이나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을 묻는 것이 아닌, 상대방의 주장과 근거, 논리가 부족한 부분을 지적하는 질문을 해야 한다.

   - 교차조사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구성해야 하며, 우선순위를 고려한 공격을 해야 한다.

   - 즉흥적인 질문이나 강한 논리구조를 가진 부분을 공략할 경우 오히려 역공을 당할 수 있으므로, 논리적 오류가 약하며 상대의 대답을 예견할 수 있는 계산된 질문을 해야 한다.

 

   ② 질문 방법 

   -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질문을 해야 한다. 엉뚱한 대답을 하거나 재질문을 요청할 경우 시간 낭비를 하게 된다.

   - 구체적이고 제한된 답을 할 수 있는 폐쇄성 질문을 해야한다. 개방형 질문을 할 경우 상대가 논리를 강화하는 기회로 사용할 수 있다.

   - 상대방이 답변시간을 의도적으로 오래 끌 경우 단호하고 예의바르게 답변을 중단토록 하고 다른 질문을 하도록 한다.

 

   ③ 질문 태도 : 예의를 지켜야 한다. 비아냥거리거나 인신공격성 발언을 삼가야 한다. 논리의 싸움이지 감정의 싸움이 아니다.

 

 나. 답변 전략

   ① 답변 내용

    - 상대방의 의도를 파악하여 상대가 준비한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한다.

    - 준비되지 않은 질문에 대해서는 근거 없이 즉흥적으로 대답을 하지 않고, 솔직하게 미흡한 부분은 인정하고 소명기회를 다음으로 미룬다.

 

   ② 답변 방법

    - 상대방의 질문에 대한 의도적인 회피나 지연은 감점 요인이 되므로 간략히 답변을 마무리하고, 다음 발언기회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발언한다.

 

   ③ 답변 태도

   - 상대의 감정적 도발을 유도하는 질문에 대해 평정심을 유지하고, 보다 더 논리적인 근거로 답변을 하여 의연히 대처하도록 한다.

 

 

3. 반박 전략

 

 가. 반박의 단계에서는 모든 쟁점이 아닌 핵심 쟁점에 대해 자신의 주장을 강화하여야 하며, 유리한 쟁점을 최대한 부각시켜 쟁점을 효과적으로 공략하여야 한다.

 나. 반박 단계에서 새로운 주장을 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금지한다. 이에 대해 면밀히 검토할 시간이 없으며 주제에서 벗어날 수 있으므로 지양한다.

 

참고문헌 : 이창덕 외, <화법교육론>, 역락, 2010.

댓글